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이스피싱 예방! 의심스러운 전화, 받지 말고 끊으세요!

by sun55 2025. 2. 25.

최근 보이스피싱 수법이 점점 더 정교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검찰, 경찰, 금융기관을 사칭하는 사기 전화를 받았다면, "의심이 들면 전화를 끊으세요!"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법을 미리 알고 대응하는 것입니다. 국방부 조사본부와 경찰청이 함께하는 보이스피싱 예방 수칙을 확인하세요.

1. 보이스피싱, 이렇게 진행됩니다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은 신뢰를 얻기 위해 다양한 기관을 사칭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우, 즉시 의심해야 합니다.

  • 검찰·경찰·금융기관 사칭: "고객님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습니다."
  • 가족·지인 사칭: "휴대폰이 고장 나서 다른 번호로 연락해요."
  • 대출·지원금 유도: "저금리 대출이 가능합니다. 보증금을 먼저 입금하세요."
  • 택배·공공기관 메시지: "배송 오류 발생, 링크를 클릭하세요."

2. 보이스피싱 예방법

①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으면 즉시 끊기

  • 검찰, 경찰, 금융기관은 절대 전화로 계좌 이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오면 일단 끊고, 직접 해당 기관에 문의하세요.

② 개인정보 요구 시 절대 응답하지 않기

  •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은 절대 전화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 특히, 금융기관이라며 OTP 번호나 보안카드를 요구하면 100% 사기입니다.

③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나 링크 클릭 금지

  • 택배·은행·정부기관을 사칭한 문자에 포함된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 공식 웹사이트나 고객센터를 통해 직접 확인하세요.

④ 피해 발생 시 즉시 신고

  • 112(경찰청) 또는 1332(금융감독원)에 신고
  • 대출 사기 및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될 경우, 즉시 해당 은행에 연락하여 조치

3. 군 장병 보이스피싱 예방 – 국방부와 경찰청이 함께합니다

군 장병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군인 부모님을 대상으로 "아들이 다쳤다"며 돈을 요구하는 사기 수법이 자주 발생합니다.

  • 군 관계자를 사칭하며 금전 요구 시 즉시 부대 및 가족에게 확인
  • 공식적인 군 연락처 외의 번호로 연락이 오면 반드시 의심
  • 부대 차원에서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 및 홍보 강화

4.  보이스피싱, 의심이 들면 전화를 끊으세요!

보이스피싱 범죄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지만, 의심하고 대응하는 습관만으로도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전화가 걸려오면, 즉시 끊고, 직접 기관에 확인하세요.

📞 보이스피싱 신고 및 상담:

  • 112 (경찰청)
  • 1332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신고센터)